분류 전체보기: 93개의 글

- 우리의 면류관 -

Posted by 김간사
2018. 11. 16. 14:25 Bible Insights

김집사의 Bible Insights

- 우리의 면류관 -
.
13 데살로니가에 있는 유대인들은 바울이 하나님의 말씀을 베뢰아에서도 전하는 줄을 알고 거기도 가서 무리를 움직여 소동하게 하거늘
14 형제들이 곧 바울을 내보내어 바다까지 가게 하되 실라와 디모데는 아직 거기 머물더라
(사도행전 17:13~14)
.
나는 공동체의 사랑을 생각할 때 늘 귀한 모델로 생각하는 공동체가 데살로니가 교회와 바울과의 관계라 생각한다.
바울이 데살로니가에 있을 때 유대인들로 하여금 얼마나 많은 핍박을 받았는지는 사도행전 17장에 잠시 나타나 보인다.  그러나 모든 성경에 자신이 받았던 핍박을 담담하게 묘사하는 성경으로 인해 그 당시 바울이 느꼈을 고통과 아픔 그리고 위로와 사랑이 얼마나 큰 것인지 깊은 묵상이 아니면 붙들기 어렵다.
데살로니전후서는 바울이 그런 극심한 핍박 가운데 세워진 데살로니가 교회를 생각하며 보낸 그의 위로 편지이다.
데살로니가 1장에서는 그런 데살로니가 교회에 대한 바울의 애틋한 마음이 표현되어 있다.
.
6 또 너희는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니
7 그러므로 너희가 마게도냐와 아가야에 있는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느니라  (살전 1:6~7)
.
바울은 교회를 품을 때 사례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은 것 같다.  힘써 일하면서 공동체를 일구는 것이 마치 간사가 팀을 일구는 듯한 모습니다.
그렇게 자신이 말씀과 기도를 쏟을 뿐아니라 경제적인 면까지 책임져가며 일군 공동체니 그들과 함께하는 하나됨은 정말 어떠할지 머릿속에 그려진다.
.
8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뿐 아니라 우리의 목숨까지도 너희에게 주기를 기뻐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
9 형제들아 우리의 수고와 애쓴 것을 너희가 기억하리니 너희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밤낮으로 일하면서 너희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였노라
10 우리가 너희 믿는 자들을 향하여 어떻게 거룩하고 옳고 흠 없이 행하였는지에 대하여 너희가 증인이요 하나님도 그러하시도다  (살전 2:8~10)
.
그리고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그 교회에 대한 바울의 마음을 한 사건으로 말미암아 묘사한다.
.
17 형제들아 우리가 잠시 너희를 떠난 것은 얼굴이요 마음은 아니니 너희 얼굴 보기를 열정으로 더욱 힘썼노라
18 그러므로 나 바울은 한번 두번 너희에게 가고자 하였으나 사탄이 우리를 막았도다
19 우리의 소망이나 기쁨이나 자랑의 면류관이 무엇이냐 그가 강림하실 때 우리 주 예수 앞에 너희가 아니냐
20 너희는 우리의 영광이요 기쁨이니라  (살전 2:17~20)
.
사실 바울이 이렇게 자랑할 수 있던 데살로니가 교회는 진실로 그들의 삶 가운데 큰 핍박이 있었던 것 같다.
이것은 3장의 디모데를 보내 그들의 위로하는데서 발견할 수 있다.
.
4 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장차 받을 환난을 너희에게 미리 말하였는데 과연 그렇게 된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5 이러므로 나도 참다 못하여 너희 믿음을 알기 위하여 그를 보내었노니 이는 혹 시험하는 자가 너희를 시험하여 우리 수고를 헛되게 할까 함이니
6 지금은 디모데가 너희에게로부터 와서 너희 믿음과 사랑의 기쁜 소식을 우리에게 전하고 또 너희가 항상 우리를 잘 생각하여 우리가 너희를 간절히 보고자 함과 같이 너희도 우리를 간절히 보고자 한다 하니
7 이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모든 궁핍과 환난 가운데서 너희 믿음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위로를 받았노라 (데살로니가 3:4~7)
.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면서 이 믿음으로 인해 큰 환난이 있을 것이라 말하였는데 과연 그 환난이 실제로 데살로니가 교회에 임하게 된 것이다.
이 환난으로 인해 교회가 어떻게 되었는지?  잘 견디어 냈는지 아니면 무슨일이라도 벌어졌는지 바울은 애가 달았던 모양이다.
하지만 디모데를 통해 데살로니가 교회가 그런 환난 가운데서도 잘 견디어 냈음은 물론 바울이 사랑하는 데살로니가에 대한 그 큰 마음과 같이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도 바울 일행을 만나길 간절히 소원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엄청 위로가 되었던 모양이다.
사실 목회나 생명을 돌아보는 일을 한번이라도 해 본 사람이라면 이런 심정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내가 전한 복음으로 인해 가해진 핍박..  그 핍박 속에서도 더욱 굳세게 믿음을 지킨 나의 양 떼들의 모습을 보는 목자의 마음은 얼마나 기쁘고 대견하며 사랑스럽겠는가?  하물며 예수님이시라면 얼마나 기쁘게 그 모습을 받아 들이시겠는가?
바울은 그 복음을 지켜낸 성도들로 인해 기쁨이 충만해진 모습이다.
.
8 그러므로 너희가 주 안에 굳게 선즉 우리가 이제는 살리라
9 우리가 우리 하나님 앞에서 너희로 말미암아 모든 기쁨으로 기뻐하니 너희를 위하여 능히 어떠한 감사로 하나님께 보답할까  (데살로니가 3:8~9)
.
내가 어떻게 이 놀라운 감사를 하나님께 보답할 수 있을까?
바울의 충만한 기쁨은 하나님께 감사와 함께 은혜 받은자의 심정이 되어 감사로 끝나는 것이 아닌 이 기쁨을 하나님께 더 보답할 수 있는 것으로 찾는다.
그에게는 오로지 복음과 영혼에 대한 사랑으로 충만해 있음을 이 한 구절에서 절실히 느낄 수 있다.
.
13 너희 마음을 굳건하게 하시고 우리 주 예수께서 그의 모든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 때에 하나님 우리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데살로니가 3:13)
.
그는 더욱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위해 기도한다.
그들의 믿음이 예수님 앞에서 서는 날까지 흔들리지 않고 흠 없이 거룩하게 되길 간절히 기도한다.
.
목회자와 성도들간의 사랑이 이 정도 되는 교회가 이 땅에 또는 이 나라에 존재할까 생각해 본다.
예수님이 진정 원하시는 "아버지와 내가 하나인 것 같이 그들도 하나되게 하소서"란 기도에 부합하는 교회가 이 땅에 이루어지길 원한다.
새로운 교회 공동체를 꿈꾸며 새로운 한 걸음을 내 딛는 내 사랑하는 동역자의 교회에 그러한 꿈이 이루어 지길 간절히 소망한다.
.
.
.

'Bible Insi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돌 맞은 바울 -  (0) 2018.11.15
- 불법자의 동류 -  (0) 2018.11.15
-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  (0) 2018.11.15
- 예수님의 사람 -  (0) 2018.11.02
- 새로운 피조물 -  (0) 2018.10.23

- 돌 맞은 바울 -

Posted by 김간사
2018. 11. 15. 16:51 Bible Insights


김집사의 Bible Insights
- 돌 맞은 바울 -
.
18 이렇게 말하여 겨우 무리를 말려 자기들에게 제사를 못하게 하니라
19 유대인들이 안디옥과 이고니온에서 와서 무리를 충동하니 그들이 돌로 바울을 쳐서 죽은 줄로 알고 시외로 끌어 내치니라
20 제자들이 둘러섰을 때에 바울이 일어나 그 성에 들어갔다가 이튿날 바나바와 함께 더베로 가서
(사도행전 14:18~20)
.
바울과 바나바 일행이 루스드라에 갔을 때 일이다.
나면서 앉은뱅이인 사람 하나를 주 예수의 이름으로 일어나 걷게 만들었더니 그 마을 사람들이 신의 재림이라 생각하여 모시고 제사를 드리려 한다.
제우스와 헤르메스라고 불릴 정도면 그들이 얼마나 충격적으로 그 사건을 받아 들였는지 이해가 갈 듯 하다.
.
하지만 바울과 바나바는 자신들이 한 일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하신 일이라 말하며 그 자리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선포한다.
세상의 모든 이목이 내가 행한 일로 인해 주목을 받을 때 나는 과연 내가 한 일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까?
아무것도 아닌 내가 아이템 하나 잘 건져서 사업에 성공했을 때, 주어진 역할로 기도회나 교회 모임이 부흥했을 때, 몇 마디 권면하고 기도해 줬을 뿐인데 상대가 회복하고 회개했을 때..
나의 공로가 하나도 없다고 영광을 주님께 돌릴 수 있는가?  과연 아무것도 한게 없다고 바울과 같은 겸손한 고백이 있을 수 있을까?
.
바울과 바나바는 안디옥과 이고니온에서 온 유대인들의 무리를 충동함으로 인해 모함에 빠진다.  그리고 바울은 그 미혹된 무리들에게 돌에 맞아 쓰러지고, 죽은 것과 같이 되어 시외로 끌려 내쳐진다.
하지만 그 다음 정말로 죽은 줄로 알았던 제자들로 둘러싸인 바울이 담담하게 일어나서 성에 들어가는 모습을 성경은 묘사한다.
이거 이거 짧은 글로는 표현할 수 없는 함축된 놀라운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을까?
돌에 맞아도 죽지 않는 바울..  그 정도 쳐 맏았으면 죽었을 것이라고 생각해 바울을 둘러 쌌던 제자들..
어쩌면 성령님께서는 그렇게 죽은 바울을 아무렇지 않게 회복 시켜 주셨으리라 생각된다.
바울은 그 자리에서 일어나 다시금 자신을 돌로 쳐 죽이려 했던 성에 들어 갔고, 그 다음날 바나바와 함께 더베로 가서 그 성에서 제자를 삼고, 다시 루스드라와 이고니온과 안디옥으로 돌아 간다.
.
22 제자들의 마음을 굳게 하여 이 믿음에 머물러 있으라 권하고 또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할 것이라 하고 (행14:22)
.
바울의 놀라운 회복과 지치지 않는 복음의 열정에는 성령님의 능력이 함께 하신 것 같다.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할 것이라"고 말한 바울은 고난 가운데 정면 돌파하여도 성령님이 회복 시켜주시는 역사를 직접 보여주신 것이다.
.
감기로 잠시 나약해진 내 마음의 믿음과 신앙이 다시금 바울의 돌 맞은 사건으로 도전을 받는다.
그리고 교회의 분열과 새로운 길을 선택한 사랑하는 내 동역자 교회의 목사님과 그 와 함께한 모든 너덜너덜 해진 성도들에게 바울과 함께하신 성령님의 회복이 있길 기도한다.
내일부터 감기라는 핑계로 잠시 내려놓은 새벽의 기도자리를 다시 도전 해 볼까 한다.
믿음의 결단은 지금부터가 시작이니깐..
.
.
.

'Bible Insi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리의 면류관 -  (0) 2018.11.16
- 불법자의 동류 -  (0) 2018.11.15
-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  (0) 2018.11.15
- 예수님의 사람 -  (0) 2018.11.02
- 새로운 피조물 -  (0) 2018.10.23

- 불법자의 동류 -

Posted by 김간사
2018. 11. 15. 16:36 Bible Insights


김집사의 Bible Insights
불법자의 동류 -
.
36 이르시되 이제는 전대 있는 자는 가질 것이요 배낭도 그리하고 검 없는 자는 겉옷을 팔아 살지어다
37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기록된 바 그는 불법자의 동류로 여김을 받았다 한 말이 내게 이루어져야 하리니 내게 관한 일이 이루어져 감이니라
38 그들이 여짜오되 주여 보소서 여기 검 둘이 있나이다 대답하시되 족하다 하시니라
(누가복음  22:36~38)
.
요즘처럼 교회와 예수님 믿는 자들이 욕먹는 시대도 없었던 것 같다.
그것도 그럴것이 매스컴과 온 매체들이 교회의 음란과 악행에 대해 뼈 때리는 팩트 폭행을 하기에 반문할 여지가 없다.
.
37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기록된 바 그는 불법자의 동류로 여김을 받았다 한 말이 내게 이루어져야 하리니 내게 관한 일이 이루어져 감이니라
.
예수님과 제자들은 불법자가 아니시지만 불법자들이라 여김을 받았다.
소위 시종잡배, 건달 같은 패거리로 세상으로부터 불려진 것이다.
예수님은 그렇게 불려진 것이 당연하다는 듯 그 말을 이루기 위해서라도 칼을 사두라고 말씀 하신 것 같다.
.
세상에서 어떻게 불리는 것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예수님은 세상에 드러내지 않으시고 자신을 나타내셨다.
아니 세상에는 오히려 불법을 행하며 저질인 사람들과 어울리는 정도의 사람으로 인식되길 원하신 것 같다.
.
세상이 우릴 어떻게 부르든 그들이 부르는대로 그대로 놔두자.
나를, 우리를 세상에 옳은 사람이라 증명하기 보다는 그리스도의 가치를 알아보고 따르는 사람에게 예수께서 자신을 보여주신 것과 같은 모습으로 살아야 하겠다.
.
15 이르시되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16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
(마태복음 16:15~16)
.
오늘 저 베드로의 고백이 나의 고백이 되어야 하겠다.
세상에서는 어떻게 부르더라도 내가 따르는 그분이야 말로 진정한 이 땅 가운데 소망이신 그리스도이심을 믿고 따라야 하겠다.
.
.
.

'Bible Insi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리의 면류관 -  (0) 2018.11.16
- 돌 맞은 바울 -  (0) 2018.11.15
-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  (0) 2018.11.15
- 예수님의 사람 -  (0) 2018.11.02
- 새로운 피조물 -  (0) 201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