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나 -

Posted by 김간사
2015. 6. 15. 15:37 Bible Insights


김집사의 Bible Insights
- 요나 -

7 하나님이 벌레를 예비하사 이튿날 새벽에 그 박넝쿨을 갉아먹게 하시매 시드니라
8 해가 뜰 때에 하나님이 뜨거운 동풍을 예비하셨고 해는 요나의 머리에 쪼이매 요나가 혼미하여 스스로 죽기를 구하여 이르되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내게 나으니이다 하니라
9 하나님이 요나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 박넝쿨로 말미암아 성내는 것이 어찌 옳으냐 하시니 그가 대답하되 내가 성내어 죽기까지 할지라도 옳으니이다 하니라
10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가 수고도 아니하였고 재배도 아니하였고 하룻밤에 났다가 하룻밤에 말라 버린 이 박넝쿨을 아꼈거든
11 하물며 이 큰 성읍 니느웨에는 좌우를 분변하지 못하는 자가 십이만여 명이요 가축도 많이 있나니 내가 어찌 아끼지 아니하겠느냐 하시니라
(요나 4:7~11)


특새 첫 주차 말씀은 요나서였습니다.
우리가 너무나 많이 듣고 잘 아는 이야기였지만 말씀과 다른 인사이트가 있어서 나누고자 합니다.

잠깐 요나서 스토리를 짧게 이야기 하자면..
요나 선지자는 니느웨의 죄악이 하나님 앞에 상달 되어 회개를 외쳐야 하는 사명을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습니다.
그러나 요나는 니느웨에 가기를 싫어합니다.  원수의 나라에 회개를 외치는 것이 무엇보다 싫었기 때문입니다.
자아가 아직 살아있는 선지자의 모습이죠.

하나님 얼굴을 피해 다시스로 도망치는 선지자 요나..
그러나 큰 폭풍우를 만나고 그는 바다 가운데 던져지는 운명을 맞습니다.
물고기 뱃속에서 고통 가운데 그는 하나님께 깊이 회개하고 다시금 그의 사명을 받아 들입니다.

물고기가 자신을 육지로 토해내는 기적을 맛본 요나 선지자..
이쯤 되면 하나님의 사람으로 완전히 변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회개했어도, 하나님을 진하게 만나 사명을 발견해도, 옛 사람의 모습은 질기게 남아 있습니다.
사흘 길을 다녀야 다 돌 수 있는 큰 성읍 니느웨를 요나는 하룻길을 다니며 니느웨 성의 멸망을 외칩니다.
하기 싫은 일을 대충 억지로 한 것이죠.
그러나 놀라운 일이 벌어집니다.
희한하게도 왕으로부터 짐승들까지 모두 자신을 겸비하고 재 가운데 하나님께 회개하며 돌아오게 됩니다.
그러자 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은 그들에게 내릴 재앙을 거두십니다.

니느웨의 멸망을 기대했던 요나는 하나님께 말도 안되는 성을 냅니다.
이럴 줄 알았다고, 회개하면 하나님께서는 용서해 주실 줄 알았다고..ㅠ  우리의 원수를 어떻게 용서해 주실 수 있냐고..ㅠㅜ
그래도 요나는 니느웨가 어찌 되는가 성 밖에서 지켜봅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그 유명한 박넝쿨 예화를 통해 요나에게 말씀해 주십니다.

10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가 수고도 아니하였고 재배도 아니하였고 하룻밤에 났다가 하룻밤에 말라 버린 이 박넝쿨을 아꼈거든
11 하물며 이 큰 성읍 니느웨에는 좌우를 분변하지 못하는 자가 십이만여 명이요 가축도 많이 있나니 내가 어찌 아끼지 아니하겠느냐 하시니라
(요나 4:10~11)
그리고 이 짧은 성경은 끝이 납니다.

보통 많은 성경학자나 목사님들이 요나서를 말씀하면서 회개의 메시지에 주목하십니다.
원수도 회개하면 용서해 주시는데, 왜 나의 백성들은 회개하지 않느냐? 그 말씀이 이 성경이 쓰인 목적이라 하십니다.
물론 그 말씀이 맞습니다만 저는 도대체 누가, 어떤 사람이 이 요나 선지자를 이렇게 실날하게 디스하면서 성경을 썼는지 궁금했습니다.
아무리 요나가 억지스럽고, 고집이 세고, 완고한 사람이지만 선지자를 어떻게 이렇게 욕보일 수 있는가?

헌데 놀라운 사실은 요나서의 저자가 바로 요나 자신이라는 사실입니다.
젊은 날.. 하나님의 사명을 받고 하나님께 자신을 드렸어도 본인이 싫은 일은 하기 싫은 것입니다.
물고기 뱃 속 같은 큰 고난을 통과하고 다시 살아나는 기적을 체험해도 원래의 본성은 좀처럼 변하기 힘든 것입니다.
억지로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기는 했지만 하기 싫은 일은 회개 후에도 끝까지 어쩔 수 없는 것이 인간이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박넝쿨 에피소드를 통해 하나님의 마음은 생명 사랑을 말씀하셨지만, 그 당시 요나는 그것을 이해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세월이 가고 나이가 들면서 깨달아지는 하나님의 마음..
어쩌면 요나는 자신의 젊은 날 치기와 완고함으로 똘똘 뭉친 자아가 얼마나 쓰레기였던가를 깨달은 것 같습니다.
험한 세월을 다 보낸 후 나이 드신 요나 선지자는 회고록 같은 자신의 선지서를 통해 결국 "하나님은 생명 사랑이다!!"라는 메시지를 드러내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요?
요나는 젊은 날 자신의 삶을 셀프디스(self diss)하며 자신을 깎아 내리는 회고를 통해 인간의 완고함에 가려지는 하나님의 생명 사랑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얼마나 사랑하시는지.. 그 생명 사랑을 말하는 것이 그의 전 인생을 통해 후세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였을 것입니다.

저에게도 나와 다르다고, 나의 원수가 되었다고, 나의 편견을 하나님께 완고하게 피력하고 있지 않은지 돌아봅니다.
나의 모든 판단의 기준이 과연 생명에게 촛점이 맞춰져 있는지 다시금 살펴봅니다.
요나 선지자가 자기 자신의 존재 자체를 깎아내리면서까지 전하고 싶은 생명 사랑 메시지가 바로 나에게 주는 메시지가 아닌지 돌아봅니다.
그 생명 사랑이 내 속에 있기를 소망합니다.
아멘..




- kimkans.tistory.com -

'Bible Insi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활#1 -  (1) 2015.07.19
- 천국과 지옥 -  (0) 2015.07.03
- 동질감 -  (0) 2015.06.14
- 좋은 열매 -  (0) 2015.06.11
- 간음하지 말라 -  (0) 2015.05.23